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5

[직장일기] 해석상담을 통해 되새기는 것.. 직장을 다니니 이 분야에 대해서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그런데 나는 잘 모르는데.. 더 배워야 되는데..전문가의 역할을 강요당한다.나의 어쭙잖은 지식으로 이렇게 하는 게 맞는지,내가 이야기하는 게 정답인 양 말하는 게 간혹 거부감으로 느껴지기도 하다. 확실한 정답이 있을까.. 1달 넘게 직장을 다니며 계속 느낀 점이다.심리치료라는 명목 하에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사람에게 도움을 준다.그런데 심리치료보다 환경의 문제가 더 큰 대상자가 많아 보인다.대부분이 연관되어 있는 것은 알지만..내가 해줄 수 없는 부분들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데, 심리적으로 보듬어만 준다고 바뀔 수 있을까.그냥 이혼하며 따로 살거나 가족 관계를 맺지 않고 혼자서 사는 게 더 나아 보이는 대상자들이 많다. 이번에도 해석상담을 하며 많.. 2025. 4. 16.
[PBT] '과정기반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2장. 네트워크 접근 2장. 네트워크 접근-과정기반 접근의 첫 번째 요소는 네트워크 접근임. 이를 이용하여 내담자의 현재 상황, 개인 역사, 표적으로 삼을 다양한 과정을 그려볼 수 있음.-과정기반치료에서 과정은 개인의 안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일련의 사건임. 직접적인 영향일 수도 있고 간접적인 영향일 수도 있음.ex) 규칙적 운동이 안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줌(직접적) /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을 보고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고, 이것이 자신의 안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줌(간접적) -모든 과정이 긍정적 영향만 있는 것은 아니고 비슷해 보이는 사건이 어떤 사람에게는 비적응 과정을 이끄는 반면, 다른 사람에게는 적응 과정일 수 있음. 이는 개인마다 그들이 처한 맥락, 작용 중인 과정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짐.ex) 수영.. 2025. 4. 15.
“시간이 사라지는 순간” - 몰입(Flow)의 심리학 🌿 어느 순간, ‘지금’에만 집중하고 있었던 경험어느 날 저녁, 조용한 카페 구석에 앉아 글을 쓰다가 문득 시계를 보니,벌써 두 시간이 지나 있었다.주변 소음도, 배고픔도 느껴지지 않았고심지어 시간의 흐름조차 인지하지 못했다.이런 경험, 한 번쯤은 해보신 적 있지 않으신가요?바로 이 순간이, 심리학에서 말하는 ‘Flow 상태’, 즉 몰입의 상태입니다. 🧠 Flow란 무엇인가요?Flow는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가 제안한 개념입니다.그는 창의적인 활동에 몰두하는 예술가, 운동선수, 과학자들을 연구하면서공통된 특징을 발견하게 됩니다.그들이 공통적으로 말한 건,“시간이 멈춘 것 같았다”, “나 자신이 사라지고, 행위 자체가 나였다”는 경험이었죠.Flow란 자.. 2025. 4. 14.
[PBT] '과정기반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1장. 임상 과학 및 실천을 다시 생각하다 1장. 임상 과학 및 실천을 다시 생각하다 -최근의 일례로 코로나에 걸렸다는 것은 판단하기 어려우나, 몇 가지 증상이나 체온 검사, 항체나 바이러스 자체의 RNA 파편을 찾는 등 생물학적 표식이 있으면 질병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음. 그러나 정신장애는 검사법이 단 하나도 없으며, 백신도 존재하지 않음. -임상 시험과 다양한 형태의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메타분석 지식이 축적됨에도 불구하고 병증의 양상이나 치료 반응 또는 변화 기전에 있어 개인 간의 중요한 차이를 전혀 설명해내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특히 개인 간의 차이가 집단 안에서 평균화되어 버릴 때 그러함.ex) 우울증의 공통된 증상은 있으나 개인에 따라 고통이 클 수도, 작을 수도 있음. 이를 평균화한다면 극단치(outlier)의 사람들은 소외.. 2025.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