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공부/심리학

[공동체 심리학] 5장. 환경 내의 개인 이해 - 3

by 소소하게 소소함 2024. 9. 4.
반응형

※ 개입을 위한 생태학적 맥락 이해의 중요성

-공동체 심리학자는 개입이 가능한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접근법들을 이용함

-문제의 구성요소를 잘 이해하는 것이 개입의 지점을 선택하는 기반을 형성함


1. 연구: 이웃, 가족, 그리고 개인을 연결하기

-이웃은 생태학적 맥락과 개인, 가족의 삶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 중 하나임

-이웃은 문제나 제한점도 있으나 강점과 지역자원도 보유하고 있음

-문제가 많은 동네는 스트레스가 많고 개인의 적응을 방해함

 

-다만. 이웃 연구는 아직 문제점이 많음

①이웃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고, 일치된 의견이 없음

-이웃은 도시의 구역보다는 크고 시보다는 작음

-이웃은 다소 유연한 경계를 가짐

-이웃은 작은 동네 정도

②많은 다양성이 존재함

- 일반화하기에는 너무 많은 예외가 있음

③끊임없이 적응하는 역동적 세팅임

-계속적으로 상황이 바뀌는 과정을 거침

 

-이웃이 개인의 기능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생각해 보기 위해 고안된 개념은 다음과 같음

이웃 위험 과정(neighborhood risk processes) = 개인의 고통, 정신 장애 등 개인에게 문제가 되는 결과와 관련된 것

이웃 보호 과정(neighborhood protective processes) = 개인의 긍정적 결과와 관련된 강점 또는 자원

원거리 과정(distal processes) = 넓은 범위에 존재하며 개인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

근거리 과정(proximal processes) = 개인에게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

 

○ 원거리 사회경제적 위험 과정

-개인의 문제와 관련한 이웃 전체의 사회적, 경제적 또는 물리적 특징을 말함

ex) 정신건강 및 문제 행동, 비행행동, 심혈관계 질환, 출산 문제는 평균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는 사람이 많은 동네에서 일반적으로 더 많이 발생함

 

○ 물리적 위험 환경

-사회경제적 과정은 개인과 가족에게 더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물리적 위험 환경을 만들어냄

ex) 저소득 동네의 주민은 오염된 공기와 물을 접할 가능성이 높으며, 열악한 주거의 질은 많은 건강 문제를 초래함

 

○ 이웃 무질서

-이웃의 폭력과 비시민성의 과정에 초점을 둠

-물리적 비시민성 : 버려진 건물, 쓰레기 투기, 기물 파손 및 낙서 등

-사회적 비시민성 : 공공장소에서의 음주, 조직 폭력배의 활동 등

ex) 비시민성이 높은 동네에 사는 주민은 비시민성이 낮은 동네에 사는 주민보다 범죄에 대한 공포, 우울 및 불안 수준이 더 높음

 

○ 보호과정

-동네의 장기 거주민의 비율, 자가 소유 주택자의 비율은 보호 요인이 됨

-주민들의 관계, 공동체 의식 등도 보호 요인이 됨

 

2. 이웃의 삶의 질 증진하기

-이러한 예방 과정은 공동체 게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함

-더들리 거리 이웃 계획(Dudely Street Neighborhood Initiative: DSNI)은 이웃 기반 공동체 개발의 예시임

-1984년 이 지역의 1/3은 비어있었고 쓰레기 투기와 잦은 방화로 시 정부도 외면하였음

-이 거리는 현재 새로운 공원, 사업체, 지역 농업 정원, 놀이터, 지역센터가 들어왔음

-400채가 넘는 새로운 주택이 지어지고, 500채가 넘는 주택이 재건되며 거리는 활기차고 안전함

-DSNI에서 일하는 3760명 이상의 주민이 함께 계획하고 실행하였음


※ 세팅을 만들거나 바꾸기

-기존의 세팅을 변화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님. 맥락 내의 세팅, 사회 시스템, 개인은 일반적으로 변화에 저항하고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려고 함

-대안세팅은 현재의 방안으로는 해답을 찾지 못하는 사람들이 기능할 수 있는 조건 및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됨

 

공동체 랏지(Community lodge)

-공동체 심리학과 지역사회정신건강 초기에 영향을 준 모범적인 연구임

-이는 1950년대의 재향군인관리국의 정신병동에서 시작되었음

-병원의 생태학적 맥락이 중증 정신장애인의 독립된 공동체 생활을 향상할 수 없음을 깨달았고, 병동에서의 규칙성을 바꾸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함

-공동체에 대안 세팅을 만들고 퇴원한 환자들과 함께 그곳으로 이사를 함

-오래된 모텔을 빌려서 개조하였고, 이름을 '랏지'라고 명명하였음

-랏지의 구성원은 스스로 세팅을 꾸려 가는 자치 활동을 시작하였고 랏지의 규칙을 만들었음

-결국 랏지 구성원들은 공동체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게 되었고 경제적 자립까지 성공하게 됨

 

=> 랏지 주거자는 스스로 자신들의 공간을 관리하였으며, 2차 변화의 예시임

=> 전문가는 구성원의 자율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자문 역할을 해주며 협력적인 역할을 수행함

=> 랏지 구성원의 재입원율이 90% 감소함

=> 랏지를 들어오기 전과 비교하면 근로소득이 515% 증가함

 

따라서 랏지 프로그램은 개인과 가족의 웰빙을 증진하기 위해 생태학적 관점을 사용할 때의 장점을 보여줌


 

반응형

 

동체 심리학자는 공동체의 어떤 측면이 개인의 발달을 지원하는지와 구성원이 떠나고 새로운 사람이 합류할 때 유지해야 하는 세팅의 요소는 어떤 것이 있는지 연구함.

공동체, 세팅, 여러 다른 맥락은 그들만의 역사가 있고 이것은 지금도 계속 변화 중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함.

생태학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은 공동체 심리학의 핵심임. 맥락과 개인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하는 학문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