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BT2

[PBT] '과정기반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2장. 네트워크 접근 2장. 네트워크 접근-과정기반 접근의 첫 번째 요소는 네트워크 접근임. 이를 이용하여 내담자의 현재 상황, 개인 역사, 표적으로 삼을 다양한 과정을 그려볼 수 있음.-과정기반치료에서 과정은 개인의 안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일련의 사건임. 직접적인 영향일 수도 있고 간접적인 영향일 수도 있음.ex) 규칙적 운동이 안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줌(직접적) /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을 보고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고, 이것이 자신의 안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줌(간접적) -모든 과정이 긍정적 영향만 있는 것은 아니고 비슷해 보이는 사건이 어떤 사람에게는 비적응 과정을 이끄는 반면, 다른 사람에게는 적응 과정일 수 있음. 이는 개인마다 그들이 처한 맥락, 작용 중인 과정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짐.ex) 수영.. 2025. 4. 15.
[PBT] '과정기반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1장. 임상 과학 및 실천을 다시 생각하다 1장. 임상 과학 및 실천을 다시 생각하다 -최근의 일례로 코로나에 걸렸다는 것은 판단하기 어려우나, 몇 가지 증상이나 체온 검사, 항체나 바이러스 자체의 RNA 파편을 찾는 등 생물학적 표식이 있으면 질병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음. 그러나 정신장애는 검사법이 단 하나도 없으며, 백신도 존재하지 않음. -임상 시험과 다양한 형태의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메타분석 지식이 축적됨에도 불구하고 병증의 양상이나 치료 반응 또는 변화 기전에 있어 개인 간의 중요한 차이를 전혀 설명해내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특히 개인 간의 차이가 집단 안에서 평균화되어 버릴 때 그러함.ex) 우울증의 공통된 증상은 있으나 개인에 따라 고통이 클 수도, 작을 수도 있음. 이를 평균화한다면 극단치(outlier)의 사람들은 소외.. 2025.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