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영어 독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래서 심리학 공부도 하고, 정리도 할 겸 해서 기록하려고 한다
오늘의 용어는 과잉보상(overcompensation)이다
혹시나 원문을 보고 싶다면 아래를 참고하면 된다
잘 몰라서 그럴듯한 걸로 골라봤다
출처
https://www.verywellmind.com/what-is-compensation-2794972
Why People Use Compensation as a Defense Mechanism
Compensation is a defense mechanism in which people overachieve in one area to compensate for other failures. It is a mature defense mechanism that can be beneficial.
www.verywellmind.com
보상은 인생에서 지각된 약한 부분을 "메우기 위해" 시도할 때의
심리적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이다.
보상은 사람들이 다른 영역에서의 실패를 삶의 한 영역에서 기대보다 높은 성과를 올리려는 방어기제의 한 종류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가정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은 일에 탁월한(excelling) 쪽으로 에너지를 향하게 할지도 모른다.
심리적 전략으로써, 사람들은 결함(inadequacies), 좌절(frustation), 스트레스(stress), 압박(urgue)을 숨기기 위해(cover up) 보상을 사용한다. 때때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보상은 남용(overuse)과 오용(misapply)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cause)
방어기제는 무엇인가?
방어기제는 자신의 감각의 불안 혹은 위협의 감정으로부터 사람들을 지키는 무의식적인 반응이다.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그의 성격 이론의 일부로 방어를 처음으로 서술했고, 그의 딸인 안나 프로이트는 나중에 심리적 방어 기제를 더 많이 연구(work)했다.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는 보상에 대해 처음으로 설명했다. 아들러는 방어기제로써 보상은 열등감(inferiority)에 대처하는 데(cope with) 도움이 될 수 있고,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은 그들의 일에 아주(highly) 숙련됨으로써(skilled in) 그들의 관계에서의 노력(struggle)을 보상할 수 있다. 이 전략의 부정적인 영향은 그들이 일하고 과하게 성취하며 건강과 웰빙에 상해(detriment)를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보상은 무엇인가?
보상은 다른 영역에서 실제 혹은 지각된 결함(deficit)을 보상하기 위해(make up for) 한 영역에서의 탁월함을 의미한다. 보상은 종종 "과잉보상(overcompensation)"과 동의어(synonymously)로 사용되지만, 과잉보상은 사람이 부족함(deficiency)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훨씬 너머(far beyond) 가는 것을 시사한다(suggest).
"보상"이라는 용어는 일상의 언어에서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면 삶의 한 영역에서 다른 측면에 대한 불안감(insecurity)을 감추려고 과도하게 일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 위해(imply) "단지 과도하게 보상하고 있다고" 말할지 모른다.
경우에 따라서는(In some cases) 보상은 의식적인 선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여러분이 발표기술이 부족한 것을 알고 있다면, 여러분은 작업 내에서 글을 통한 의사소통(written communications)의 탁월함을 보여줌으로써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도할지도 모른다. 더 적은(lesser) 능력을 보상할 때 더 강한 기술에 관심을 끌면서(by drawing attention) 최소로 한다.
그러나 보상은 무의식적일 수도 있다. 여러분의 부족함(inadequacy)의 감정은 숨겨져 있을 수 있고, 그것들을 보상하려고 시도하도록 이끌 수도 있다.
보상의 두 가지 형태를 취한다
1. 과잉보상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결점(shortcoming)을 메우기 위해 자신의 삶의 한 영역에서 과도하게 성취하는 것이다. 사람은 경쟁적(competitive)이고 지배적이고(dominant) 과장하는(exaggerate) 경향이 있을 수 있다.
2. 과소보상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함으로써 결점을 해결하는 것이다(address). 불안이나 압박을 피하려고 할 때 과소보상을 할지도 모른다. 사람들은 실패(failure) 혹은 당혹감(embarrassment)을 두려워할지도 모른다.
보상은 행동이나 결정에서 강력한 영향을 가질 수 있다. 보상은 종종 부정적인 측면에서 묘사되지만(portray) 긍정적 영향을 가질 수 있다.
찬성(Pros) - 강점에 초점, 성장 격려(Encourages growth), 더 강한 자이존중감(self-esteem) 촉진(Foster), 자아상(self-image), 도전 직면(confronting challenges)의 이득 강화
반대(Cons) - 낙담(discouragement)으로 이끎, 관계에서의 스트레스, 동기부여 감소, 쓸모없는(unhelpful) 대처 기술 촉진, 성장 억제(Inhibits growth)
'심리학 공부 > 심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이 사라지는 순간” - 몰입(Flow)의 심리학 (2) | 2025.04.14 |
---|---|
[바넘효과] 오? 완전 내 이야기인데? (1) | 2024.02.12 |
[닻 내림 효과] 처음 들었던 정보가 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1)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