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oreaherald.com/view.php?ud=2024073005075
[Kim Seong-kon] Cultural differences make our eyes open
Despite many striking similarities, there are a myriad of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Living in Korea and the US, I can attest to the plethora of such differences. Those differences reflect how Koreans and Americans perceive things
www.koreaherald.com
영어를 공부해야 되는데 무엇부터 할까 하다가 opinion을 해석하면서 차근차근해보려고 한다.
조금 익숙해지면 논문을 요약해볼까 한다.
Cultural differences make our eyes open
문화의 차이는 우리의 눈을 뜨게 만든다
Despite many striking similarities, there are a myriad of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Living in Korea and the US, I can attest to the plethora of such differences. Those differences reflect how Koreans and Americans perceive things differently.
여러 두드러진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서양과 동양은 무수한 문화적 차이가 있다. 한국과 미국에서 살면서 나는 그러한 차이가 많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 차이는 한국인과 미국인이 다르게 지각하는 것을 나타낸다.
The way of disciplining a child is a good example. For instance, American parents usually “ground” a badly behaving boy by confining him in his room, probably with no TV or computer. On the other hand, Korean parents punish a bad boy by casting him out of the house temporarily. Recently, someone came up with an intriguing interpretation; the American way of punishment is taking away the child’s “freedom,” and the Korean way of punishment is depriving the child of his “sense of stability and comfort.” It is true that Americans value “individual freedom,” whereas Koreans attach importance to “a sense of stability and comfort,”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아이를 훈육하는 방법은 좋은 예이다. 예를 들어 보통 미국의 부모는 행동이 나쁜 아이를 아마 티비나 컴퓨터가 없는 방 안에 두면서 “가르친다”. 반면, 한국의 부모는 나쁜 아이를 잠시 집 밖으로 내보내며 벌을 준다. 최근 누군가 흥미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미국에서 처벌의 방법은 아이의 “자유”를 줄이는 것이고, 한국에서 처벌의 방법은 아이의 “안정감과 편안함”을 빼앗는 것이다. 미국은 “개인의 자유”로 소중히 하는 반면, 한국은 신체적이고 심리적인 “안정감과 편안함”을 중요시하는 것은 사실이다.
Another intriguing cultural difference between America and Korea is the perception of diversity. Traditionally, Koreans prefer the idea of “unity” to diversity, and homogeneity to heterogeneity. Perhaps the Korean people worry that diversity might hamper unity and thus cause division and chaos. However, since South Korea has recently decided to welcome foreign immigrants, Koreans should embrace “diversity” from now on.
또 다른 미국과 한국의 흥미로운 문화적 차이는 다양성의 인식이다. 전통적으로 한국인은 다양성보다 “단일”을, 이질성보다 동질성을 선호한다. 아마도 한국 사람들은 다양성이 화합을 방해하거나 분열과 혼란을 일으킨다고 걱정한다. 그러나 최근 한국은 외국인 이민자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했고 지금부터 한국인은 다양성을 받아들여야 한다.
On the other hand, as a country of immigration, Americans prefer cultural and ethnic diversity. Of course, the conservatives do not like diversity. For example, Texas, which is a conservative state, does not approve of DEI, that is,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at workplaces. In the eyes of conservative administrators in Texas, it is not fair if the decision to hire someone considers their background as an ethnic minority. They argue that competence and ability are more important than one’s ethnicity.
반면, 이민자의 국가인 미국인은 문화적, 민족적 다양성을 선호한다. 물론, 보수주의자는 다양성을 싫어한다. 예를 들어, 보수적인 주인 텍사스는 직장에서 DEI(다양성, 공평성, 포용성)를 찬성하지 않는다. 텍사스의 보수적인 관리자의 시선에서는 민족적 소수성이 그들의 고용을 결정하는 데 배경이 되는 거라면 공정이 아니다. 능력과 역량이 그들의 민족성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Still, however, diversity is the essence of America. Indeed, it is an outstanding characteristic and a virtue of the US. In the American movie “Divergent,” for example, the leader of the outside world says, “We created factions to ensure peace. But we believe there will be those among you who will transcend these factions. These will be the Divergent. They are vital to humanity’s survival.” Indeed, diversity can make a monochromatic world colorful, which is vital to human lives.
그러나 여전히 다양성은 미국의 핵심이다. 게다가 그것은 미국의 독자적인 특성과 미덕이다. 예를 들면, 미국의 영화 “다이버전트”는 바깥 세계의 리더는 “우리는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파벌을 만들었다. 그러나 우리는 여러분 중에 이 파벌을 넘을 수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라 믿는다. 그들은 다이버전트가 될 것이다. 그들은 인류 생존에 필수적이다.”라고.” 말한다. 실제로 다양성은 인간 삶에 필수적인 단색의 세계를 화려하게 만들 수 있다.
“Returning the favor,” too, is another example of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merica and Korea. Americans frequently say, “Thank you!” or “I appreciate it.” When they receive a big favor, Americans say, “I owe you,” or “I owe you one” and try to return the favor. On the contrary, I have observed that Koreans often tend to take a favor from someone as granted and do not particularly seem to feel obliged to return it. Perhaps Koreans think that being grateful is different from being indebted.
“친절을 돌려주는 것”도 미국과 한국 사이의 문화적 차이의 다른 예다. 미국인은 “고마워, 감사해”자주 말한다. 그들은 큰 호의를 받았을 때 “난 너에게 빚지고 있어” 또는 “난 너에게 그것을 빚지고 있어.”라고 하며 호의를 돌려주길 시도한다. 대조적으로 나는 한국인들은 종종 호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고, 특별히 돌려주지 않아도 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관찰했다. 아마도 한국인들은 감사한 것과 빚지는 것은 다르다고 생각할 것이다.
The friendship between the two celebrated American poets, Robert Frost and Ezra Pound, provides a good example of “returning the favor.” Dartmouth College Library’s Robert Frost Collection possesses important documents about Frost, including the corresponding letters between him and Ezra Pound.
미국의 유명한 두 시인(로버트 프로스트와 에즈라 파운드)의 우정은 호의를 돌려주는 좋은 예를 제공했다. 다트머스 대학 도서관의 로버트 프로스트 수집품은 프로스트와 에즈라 파운드와 사이의 편지를 포함한 프로스트에 대한 중요한 문서를 보유하고 있다.
In the early 20th century, Ezra Pound, who led the Imagism literary movement in Europe, helped Robert Frost make a literary debut in the UK. In 1913, Frost, then a nameless aspiring poet, met Pound at a bookstore party in London. Pound took him under his wing even though Frost’s poems were radically different from his own poetic style and taste. Pound recommended Frost to a publisher so that Frost could publish his first book of poems.
20세기 초기, 유럽에서 이미지즘 문학 운동을 이끈 에즈라 파운드는 로버트 프로스트가 영국에서 문학계에 데뷔하는 것을 도왔다. 1913년 프로스트는 무명의 야심 있는 시인이었고 런던에 서점 파티에서 파운드를 만났다. 파운드는 프로스트의 시의 스타일과 양식에서 그의 시의 스타일과 근본적으로 차이를 느꼈음에도 프로스트를 자기 밑으로 데리고 갔다. 파운드는 프로스트가 그의 첫 시집을 출판하기 위해 프로스트를 출판사에 추천했다.
Frost never forgot the favor he had received from Pound, even when Pound became an embarrassment to his fellow writers after he had expressed his support for Mussolini’s fascism and Hitler’s Nazism. When Pound was on trial for treason after World War II, Frost pleaded insanity on behalf of Pound and thereby saved him from death row. Thanks to Frost, Pound was incarcerated at St. Elizabeth's Psychiatric Hospital in Washington and released in 1958. Frost “returned the favor” he received from Pound.
프로스트는 파운드가 무솔리니의 파시즘과 히틀러의 나치즘을 위한 지지를 표현하여 동료 작가들이 곤혹스러운 상황이 되었을 때도 파운드로부터 받았던 호의를 절대 잊지 않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파운드가 반역죄로 재판을 받을 때, 프로스트는 파운드를 대신하여 정신 이상이라 변호했고, 감방에서 그를 구했다. 프로스트 덕분에 파운드는 워싱턴의 세인트 엘리자베스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가 1958년에 석방되었다. 프로스트는 파운드로부터 받은 “호의를 돌려주었다.”
As a Godfather-like figure among younger writers, Pound helped not only Robert Frost, but also T.S. Eliot, Ernest Hemingway and James Joyce. Joyce was a foreigner whose help was limited, but Eliot and Hemingway returned the favor by eagerly offering help when Pound’s life was at stake.
파운드는 젊은 작가들 사이에서 대부와 같은 인물로서 로버트 프로스트뿐만 아니라 T.S. 엘리엇, 어니스트 헤밍웨이, 제임스 조이스를 도왔다. 조이스는 도움이 제한된 외국인이었으나 엘리엇과 어니스트는 파운드의 삶이 위태로울 때 간절히 도움을 주면서 호의를 돌려주었다.
Last Saturday was the 71st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rmistice.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US President Harry Truman immediately sent US troops to South Korea to help us. Since declaring war required the approval of the US Congress, which was a time-consuming procedure, Truman swiftly dispatched the US troops to South Korea in the name of “police action.” If he had not sent the US troops in time, South Korea would surely have become a communist country. Still, however, few Koreans seem to be grateful or try to return the favor to him.
지난 일요일 한국전쟁 휴전 71주년이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생했을 때, 미국 대통령인 해리 트루먼은 한국을 돕기 위해 즉시 미군을 보냈다. 전쟁을 선포하기 위해서는 미국 의회의 승인이 필요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절차였고, 트루만은 신속하게 “치안 활동”의 이름 하에 미군을 한국으로 급파했다. 만약 늦지 않게 미군을 보내지 않았다면 한국은 명백히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미국인에게 감사하거나 호의를 돌려주길 시도하는 한국인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Cultural differences enable us to open our minds and eyes to the world.
문화의 차이는 우리가 세상을 향한 우리의 마음과 눈을 열어주게 만든다.
[요약]
서양과 동양은 문화적 차이가 크다.
1-1) 아이 훈육 방법
한국 – 안정감과 편안함을 빼앗음
미국 – 자유를 줄임
1-2) 다양성의 인식
한국 – 다양성 보다 단일(unity), 이질성 보다 동질성 선호
미국 – 민족적, 문화적 다양성 선호
1-3) 친절을 돌려주는 것
한국 – 호의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돌려주지 않아도 되는 것처럼 보임
미국 – 호의를 돌려주길 시도함
문화의 차이는 우리가 세상을 향한 우리의 마음과 눈을 열어주게 만든다.
※ 한줄평
해석을 하고 보니 제목을 보고 내가 생각했던 것과 다른 내용인 것 같아서 당황스럽긴 했다.
나의 생각과는 다르지만 아무튼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은 필요하다.
- 이상 끝 -
'영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논문] 범죄 이동성과 동기 없는 살인: 수사적 접근(2021) (2) | 2024.10.24 |
---|---|
[영어 공부] Surgeon General: Parents Are at Their Wits’ End. We Can Do Better (19) | 2024.09.23 |